생마르탱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마르탱 축구 국가대표팀은 생마르탱을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90년 카리브컵 예선에서 첫 경기를 치렀다. 카리브컵 예선에 여러 차례 참가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으며, 2019년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예선에 참여하여 리그 C에 배정되었다. 2023-24 시즌에는 리그 C에서 전승을 거두며 리그 B로 승격했다. 텔베르 카르티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스테판 오브레이가 감독을 맡고 있다. 주요 선수로는 악셀 라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북아메리카의 축구 국가대표팀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 CONCACAF에 관한 -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
바하마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하마를 대표하며, 1970년 국제 경기에 데뷔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기록이 없고,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쟁한다. - CONCACAF에 관한 -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1년 카리브컵으로 데뷔하여 FIFA 월드컵, CONCACAF 골드컵 등에 참가하며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 경험을 쌓고 2022년 FIFA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성적을 개선하고 있지만, 아직 우승 경험이나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은 없다.
생마르탱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생 스왈로우스 |
협회 | 생마르탱 축구 리그 |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북아메리카) |
하위 연맹 | 카리브 축구 연맹 (카리브) |
감독 | 스테판 오브레 |
최다 출장 선수 | 야닉 벨샤스 (25) |
최다 득점 선수 | 악셀 라가 (9) |
홈 경기장 | 스타드 알베릭 리샤르 |
FIFA 트리그램 | MAF |
CONCACAF 코드 | SMN |
FIFA 랭킹 | 170 |
엘로 최고 랭킹 | 162 |
엘로 최고 랭킹 날짜 | 1990년 5월 |
엘로 최저 랭킹 | 212 |
엘로 최저 랭킹 날짜 | 2019년 9월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상의: 빨간색 하의: 빨간색 양말: 하얀색 |
원정 유니폼 | 상의: 파란색 하의: 파란색 양말: 하얀색 |
첫 경기 | |
첫 경기 정보 | 신트마르턴 1–3 생마르탱 |
첫 경기 장소 | 필립스뷔르흐, 신트마르턴 |
첫 경기 날짜 | 1988년 6월 14일 |
최대 점수차 승리 | |
최대 점수차 승리 정보 | 생마르탱 8–0 앵귈라 |
최대 점수차 승리 장소 | 바스테르, 세인트키츠 네비스 |
최대 점수차 승리 날짜 | 2023년 10월 16일 |
최대 점수차 패배 | |
최대 점수차 패배 정보 | 자메이카 12–0 생마르탱 |
최대 점수차 패배 장소 | 킹스턴, 자메이카 |
최대 점수차 패배 날짜 | 2004년 11월 24일 |
2. 역사
생마르탱은 1990년 카리브컵 예선에서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를 상대로 첫 번째 공식 경기를 치러 3-0으로 승리했다. 앵귈라 (4-0)와 케이맨 제도 (합계 8-3)를 꺾고 최종 예선 라운드에 진출했지만, 결정적인 조별 경기에서 자메이카에 1-0으로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생마르탱은 이후 9번의 카리브컵 대회에 불참하다가, 2001년 예선에 복귀하여 앵귈라와 몬트세랫을 꺾고 최종 예선 라운드에서 쿠바에 6점 뒤진 2위를 기록했다. 2005년 예선에서 생마르탱은 첫 번째 예선 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하고 자메이카에 12-0으로 대패했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생마르탱은 모든 예선 대회에서 첫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014년 8월, 생마르탱은 2012년 이후 처음으로 친선 경기를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와 치렀다. 당시 SMFA 회장 파브리스 발리(Fabrice Baly)는 카리브 국제 축구에 완전히 복귀하기 위한 3년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국제 스카우트들의 관심을 끌고 2017년 CONCACAF 골드컵 예선에 진출하는 것을 장기 목표로 설정했다.[3] 생마르탱은 2017년 카리브컵 예선에서 기권하며 발리가 시작한 프로젝트를 종료했다.[4]
2019년, 생마르탱은 최초의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예선에 참가하여 4경기 모두 패배하고 최하위를 기록하여 리그 C에 배정되었으며, 리그 B 진출 자격을 얻기 위해 3점 차이로 3위를 기록했다.
2. 1. 초기 역사 (1990년대 ~ 2000년대 초)
생마르탱은 1990년 카리브컵 예선에서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를 상대로 첫 번째 공식 경기를 치러 3-0으로 승리했다.[3] 앵귈라 (4-0)와 케이맨 제도 (합계 8-3)를 꺾고 최종 예선 라운드에 진출했지만, 결정적인 조별 경기에서 자메이카에 1-0으로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이후 9번의 카리브컵 대회에 불참하다가, 2001년 예선에 복귀하여 앵귈라와 몬트세랫을 꺾고 최종 예선 라운드에서 쿠바에 6점 뒤진 2위를 기록했다.[3] 2005년 예선에서 생마르탱은 첫 번째 예선 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하고 자메이카에 12-0으로 대패했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생마르탱은 모든 예선 대회에서 첫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2. 2. 침체기 (2000년대 중반 ~ 2010년대 초)
생마르탱은 2005년 예선에서 첫 번째 예선 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하고 자메이카에 12-0으로 대패했다.[3]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생마르탱은 모든 예선 대회에서 첫 라운드에서 탈락했다.[3]2. 3. 재도약과 발전 (2010년대 중반 ~ 현재)
2014년 8월, 생마르탱 축구 위원회(SMFA) 회장 파브리스 발리(Fabrice Baly)는 카리브 국제 축구 복귀를 위한 3년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국제 스카우트들의 관심을 끌고 2017년 CONCACAF 골드컵 예선에 진출하는 것을 장기 목표로 설정했다.[3] 그러나 생마르탱은 2017년 카리브컵 예선에 기권했다.[4]2019년, 생마르탱은 최초의 2019-20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예선에 참가했지만 4경기 모두 패배하며 최하위를 기록, 리그 C에 배정되었다.
2023-24 시즌, 생마르탱은 보네르, 앵귈라와 함께 리그 C A조에 편성되어 4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역사상 첫 무패이자 국제 대회 첫 무패 기록으로, 생마르탱은 보네르와 함께 차기 시즌 리그 B로 승격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3. 국제 대회 경력
3. 1. CONCACAF 골드컵
생마르탱은 1991년 CONCACAF 골드컵 예선 참가를 시작으로, 1993년부터 2000년까지는 불참, 2002년부터 2013년까지는 예선 탈락, 2015년에는 다시 불참, 2017년에는 기권하였다.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다시 예선에 참가했지만, 현재까지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CONCACAF 골드컵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1년 | CONCACAF 회원국 아님 | |||||||
1993년 | ||||||||
1996년 | ||||||||
1998년 | ||||||||
2000년 | ||||||||
2002년 | 예선 탈락 | |||||||
2003년 | ||||||||
2005년 | ||||||||
2007년 | ||||||||
2009년 | ||||||||
2011년 | ||||||||
2013년 | ||||||||
2015년 | ||||||||
2017년 | ||||||||
2019년 | ||||||||
2021년 | ||||||||
2023년 | ||||||||
합계 | 0/12 |
3. 2. CONCACAF 네이션스리그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 34위로 리그 C에 편입된 생마르탱은 바베이도스,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와 함께 A조에 편성되어 3승 3패, 조 3위로 첫 시즌을 마쳤다.2022-23 시즌 리그 C에서는 세인트키츠 네비스, 아루바와 B조에 편성되어 2무 2패, 조 최하위의 성적을 기록했다.
2023-24 시즌에는 보네르, 앵귈라와 A조에 편성되어 4전 전승, 조 1위로 CONCACAF 네이션스리그가 시작된 이래 첫 무패이자 국제 대회에서의 첫 무패의 성적으로 차기 시즌 리그 B 승격을 확정지었다.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기록 | |||||||||||||||||||
---|---|---|---|---|---|---|---|---|---|---|---|---|---|---|---|---|---|---|---|
리그 | rowspan="7" | | 결선 | |||||||||||||||||
시즌 | 디비전 | 그룹 | 결선 | 결과 | |||||||||||||||
2019–20 | C | A | 6 | 3 | 0 | 3 | 7 | 8 | 2021 | 자격 없음 | |||||||||
2022–23 | C | B | 4 | 0 | 2 | 2 | 2 | 7 | 2023 | ||||||||||
2023–24 | C | A | 4 | 4 | 0 | 0 | 20 | 1 | 2024 | ||||||||||
2024–25 | B | B | 미정 | 2025 | |||||||||||||||
합계 | — | — | 14 | 7 | 2 | 5 | 29 | 16 | — | 합계 | 0 타이틀 | — | — | — | — | — | — | — |
3. 3. 카리브컵
생마르탱은 1990년 대회부터 꾸준히 카리브컵 예선에 참가했으나, 2017년 대회가 폐지될 때까지 본선 진출 기록은 없다. 1989년, 1991년부터 1999년 대회까지는 불참하거나 기권했다.카리브컵 기록 | !width=1% rowspan=22| | 예선 기록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89 | 불참 | 불참 | |||||||||||||
1990 | 예선 탈락 | 7 | 5 | 0 | 2 | 17 | 6 | ||||||||
1991 | 불참 | 불참 | |||||||||||||
1992 | |||||||||||||||
1993 | |||||||||||||||
1994 | |||||||||||||||
1995 | |||||||||||||||
1996 | |||||||||||||||
1997 | |||||||||||||||
1998 | |||||||||||||||
1999 | |||||||||||||||
2001 | 예선 탈락 | 5 | 3 | 0 | 2 | 9 | 7 | ||||||||
2005 | 3 | 0 | 1 | 2 | 0 | 14 | |||||||||
2007 | 3 | 0 | 1 | 2 | 0 | 2 | |||||||||
2008 | 3 | 0 | 0 | 3 | 2 | 13 | |||||||||
2010 | 3 | 0 | 1 | 2 | 2 | 5 | |||||||||
2012 | 3 | 0 | 0 | 3 | 0 | 24 | |||||||||
2014 | 불참 | 불참 | |||||||||||||
2017 | 기권 | 기권 | |||||||||||||
합계 | 0/19 | 27 | 8 | 3 | 16 | 30 | 71 |
4. 선수
2024년 10월 11일과 14일에 세인트루시아를 상대로 치러지는 두 번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B 경기에 다음 선수들이 소집되었다.[6]
''와의 경기 이후, 2024년 9월 9일 기준 출장 경기 수와 골 수.''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팀 | |
---|---|---|---|---|---|---|
GK | 율리히 루페론 | 율릭 루페론/Yulrick LUPERON프랑스어 | 2000년 12월 11일 | 7 | 0 | CS 무리엥 |
GK | 세바스티앙 라포즈 | 세바스티앙 라포스/Sébastien LAFOSSE프랑스어 | 1980년 6월 29일 | 7 | 0 | 엉텅트 SSG |
GK | 레니 포이 | 레니 푸아/Lenny POILLY프랑스어 | 1998년 12월 29일 | 2 | 0 | 레드 스타 |
DF | 벨로니 뒤마 | 벨로니 뒤마/Belony DUMAS프랑스어 | 1989년 7월 18일 | 11 | 0 | JAS 생-프리에스트 |
DF | 스티븐 라게르 | 스테번 라제/Steven LAGER프랑스어 | 2001년 5월 9일 | 10 | 0 | 주니어 스타 |
DF | 스테판 바르소비에 | 스테판 바르소비/Stéphane VARSOVIE프랑스어 | 1990년 10월 28일 | 9 | 0 | AS 생-프리에스트 |
DF | 다비드 슈발리에 | 다비드 슈발리에/David CHEVALIER프랑스어 | 1995년 8월 19일 | 5 | 0 | FC 몽소 |
DF | 도노반 필스-아임 | 도노반 필스아임/Donovan PILS-AIM프랑스어 | 2001년 10월 31일 | 2 | 0 | AS 생-제르맹-뒤-퓌 |
DF | 파비앙 퐁로즈 | 파비앵 퐁로즈/Fabien FONROSE프랑스어 | 1998년 4월 3일 | 0 | 0 | RFC 룩셈부르크 연합 |
DF | 조나스 스미스 | 조나스 스미트/Jonas SMITH프랑스어 | 1999년 10월 9일 | 0 | 0 | AS 칸 |
MF | 노아 모베 | 노아 모베/Noah MAUVAISE프랑스어 | 2004년 7월 21일 | 7 | 0 | 주니어 스타 |
MF | 로무알드 라카제트 | 로뮈알드 라카즈/Romuald LACAZE프랑스어 | 1994년 1월 3일 | 6 | 1 | 튀르크귀쥐 뮌헨 |
MF | 요안 바르댕 | 요안 바르댕/Yoann BARDIN프랑스어 | 1998년 3월 26일 | 5 | 0 | 엉텅트 SSG |
MF | 라힘 드니 | 라힘 드니/Rahim DENIS프랑스어 | 2001년 10월 24일 | 2 | 0 | 레제르비에 VF B |
MF | 야니스 몽탱탱 | 야니스 몽테뉴/Yannis MONTAIGNE프랑스어 | 1999년 8월 2일 | 2 | 0 | FC 로당주 91 |
MF | 사샤 바라카 | 사샤 바라카/Sasha BARAKA프랑스어 | 2006년 10월 19일 | 1 | 0 | 투르 U-19 |
FW | 악셀 라가 | 악셀 라가/Axel RAGA프랑스어 | 1997년 7월 27일 | 6 | 8 | GFA 뤼미-발리에르 |
FW | 라힘 플레밍 | 라힘 플레밍/Raheem FLEMING프랑스어 | 2003년 2월 25일 | 4 | 0 | AS 피닉스 |
FW | 킬란 르봉 | 킬란 르본/Keelan LEBON프랑스어 | 1997년 7월 4일 | 3 | 1 | 네프치 PFK |
FW | 임리 슈발리에 | 임레 슈발리에/Imre CHEVALIER프랑스어 | 2 | 0 | Unknown | |
FW | 장-밥티스트 레오 | 장밥티스트 레오/Jean-Baptiste LÉO프랑스어 | 1996년 5월 3일 | 0 | 0 | PAS 얀니나 FC |
FW | 미카엘 마르샬 | 미카엘 마르샬/Mickaël MARSHALL프랑스어 | 1997년 6월 29일 | 0 | 0 | SU 디브-카부르 |
다음 선수들은 지난 12개월 동안 소집되었다.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팀 | 최근 소집 | |
---|---|---|---|---|---|---|---|
DF | 엠마누엘 리차드슨 | 에마뉘엘 리샤르드송/Emmanuel RICHARDSON프랑스어 | 2001년 12월 15일 | 16 | 2 | 주니어 스타 | v. ; 2024년 9월 9일 |
DF | 로랑 아미앵 | 로랑 아미앵/Laurent AMIENS프랑스어 | 1993년 12월 17일 | 7 | 0 | USM 사라 | v. ; 2024년 9월 9일 |
DF | 말콤 바벨 | 말콤 바벨/Malcolm BABEL프랑스어 | 1993년 5월 19일 | 3 | 0 | 페이 뒤 발루아 | v. ; 2024년 9월 9일 |
DF | 잘렌 세고르 | 잘렌 세주르/Jallen SÉJOUR프랑스어 | 1993년 5월 19일 | 3 | 0 | 라 골루아즈 드 바스-테레 | v. ; 2024년 9월 9일 |
DF | 타일러 플랜더스 | 타일러 플랜더스/Tyler FLANDERS프랑스어 | 2007년 10월 4일 | 2 | 0 | 생 루이 스타 | v. ; 2024년 9월 9일 |
MF | 케니 찬스 | 케니 샹스/Kenny CHANCE프랑스어 | 2001년 5월 18일 | 6 | 0 | 피닉스 | v. ; 2023년 10월 16일 |
FW | 야니크 벨라스 | 야니크 벨샤스/Yannick BELLECHASSE프랑스어 | 1992년 10월 26일 | 28 | 5 | 주니어 스타 | v. ; 2024년 9월 9일 |
FW | 랜디 겐테스 | 란디 장트/Randy GENTES프랑스어 | 2000년 5월 27일 | 9 | 2 | ES 낭테르 | v. ; 2024년 9월 9일 |
4. 1. 주요 선수
생마르탱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로는 현재 대표팀 최다 득점자인 악셀 라가(8골)가 있다.[6] 이외에도 다비드 생틸, 쥐드 생발, 엘비스 플레밍, 야니크 벨레샤스 등이 주요 선수로 언급된다.순위 | 이름 | 골 | 출장 | 비율 | 활동 기간 |
---|---|---|---|---|---|
1 | 악셀 라가 | 8 | 4 | 2.00 | 2023–현재 |
2 | 스탠리 세가렐 | 5 | 3 | 1.67 | 2023–현재 |
다닐로 콕스 | 5 | 11 | 0.45 | 2014–현재 | |
야닉 벨레샤스 | 5 | 25 | 0.20 | 2012–현재 | |
5 | 로무알드 벤자민 | 4 | 5 | 0.80 | 2001–2004 |
6 | 아킴 아론델 | 3 | 6 | 0.50 | 2018–2019 |
7 | 로랑 사메르 | 2 | 1 | 2.00 | 2014 |
맥켄슨 피에르 | 2 | 3 | 0.67 | 2008 | |
데르빌 비르질 | 2 | 4 | 0.50 | 2010–2019 | |
피에르-베르트랑 아르네 | 2 | 5 | 0.40 | 2022–현재 | |
야닉 슈발리에 | 2 | 5 | 0.40 | 2019–현재 | |
빅토르 호지 | 2 | 5 | 0.40 | 2001–2004 | |
베르트랑 핀디 | 2 | 5 | 0.40 | 2001–2006 | |
랜디 젠테스 | 2 | 6 | 0.33 | 2022–현재 | |
엠마누엘 리차드슨 | 2 | 14 | 0.14 | 2018–현재 | |
4. 2. 선수 기록 (2023년 11월 21일 기준)
2023년 11월 21일 기준[7] 생마르탱 축구 국가대표팀의 최다 출장 선수는 얀니크 벨레샤스로, 총 25경기에 출전했다. 최다 득점자는 악셀 라가로, 4경기에서 8골을 기록했다.'''현역 선수'''는 굵은 글씨로 표시했다.
순위 | 선수 | 출장 | 골 | 활동 기간 |
---|---|---|---|---|
1 | 얀니크 벨레샤스 | 25 | 5 | 2012–현재 |
2 | 앙리 에밀 | 14 | 0 | 2002–2012 |
제이슨 맥코우 | 14 | 0 | 2018–현재 | |
엠마누엘 리처드슨 | 14 | 2 | 2018–현재 | |
5 | 윌프리드 달맛 | 12 | 1 | 2019–현재 |
엘비스 플레밍 | 12 | 0 | 2006–2018 | |
7 | 다닐루 콕스 | 11 | 5 | 2014–현재 |
벨로니 뒤마 | 11 | 0 | 2019–현재 | |
9 | 압디아스 밀리우스 | 10 | 0 | 2018–2019 |
10 | 제롬 보졸 | 9 | 0 | 2004–2010 |
니콜라스 샬메 | 9 | 0 | 2010–2019 | |
주드 생-발 | 9 | 0 | 2010–2018 | |
케빈 존존 | 9 | 0 | 2019–현재 | |
순위 | 이름 | 골 | 출장 | 활동 기간 |
---|---|---|---|---|
1 | 악셀 라가 | 8 | 4 | 2023–현재 |
2 | 스탠리 세가렐 | 5 | 3 | 2023–현재 |
다닐로 콕스 | 5 | 11 | 2014–현재 | |
야닉 벨레샤스 | 5 | 25 | 2012–현재 | |
5 | 로무알드 벤자민 | 4 | 5 | 2001–2004 |
6 | 아킴 아론델 | 3 | 6 | 2018–2019 |
7 | 로랑 사메르 | 2 | 1 | 2014 |
맥켄슨 피에르 | 2 | 3 | 2008 | |
데르빌 비르질 | 2 | 4 | 2010–2019 | |
피에르-베르트랑 아르네 | 2 | 5 | 2022–현재 | |
야닉 슈발리에 | 2 | 5 | 2019–현재 | |
빅토르 호지 | 2 | 5 | 2001–2004 | |
베르트랑 핀디 | 2 | 5 | 2001–2006 | |
랜디 젠테스 | 2 | 6 | 2022–현재 | |
엠마누엘 리차드슨 | 2 | 14 | 2018–현재 | |
5. 경기장
생마르탱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 구장은 오를레앙 구역에 위치한 텔베르 카르티 경기장이며, 2,5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경기장 | 수용 인원 | 도시 |
---|---|---|
텔베르 카르티 경기장 | 2,500 | 오를레앙 구역 |
6. 감독
과들루프/Guadeloupefra 출신 스테판 오브레이(Stéphane Auvray)가 2019년부터 현재까지 생마르탱 대표팀을 이끌고 있다.[5]
7. 기타
생마르탱 축구 국가대표팀은 다양한 홈, 원정 유니폼 디자인을 사용해왔다.[8][9][10][11][12][13][14][15] 2008년 홈 유니폼은 상, 하의, 양말 모두 파란색을 바탕으로 흰색 포인트를 주었고, 2010년 홈 유니폼은 파란색 상의와 하의, 흰색 양말을 사용했다. 2017년에는 파란색을 주 색상으로 한 홈 유니폼과 흰색을 주 색상으로 한 원정 유니폼을 사용했다. 2019년에는 진한 남색을 바탕으로 한 홈 유니폼과 흰색 바탕의 원정 유니폼을 사용했으며, 2022년에는 빨간색 상, 하의와 흰색 양말을 조합한 홈 유니폼과 파란색 상, 하의와 흰색 양말을 조합한 원정 유니폼을 사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Flag
https://api.fifa.com[...]
2024-04-09
[2]
웹사이트
Saint-Martin
https://www.concacaf[...]
2021-03-07
[3]
웹사이트
Enfin une victoire pour Saint-Martin
https://web.archive.[...]
stmartinweek.net
2015-12-30
[4]
웹사이트
Saint-Martin trekt zich terug uit Caribbean Cup
https://www.natiosur[...]
2022-06-08
[5]
뉴스
L’équipe sénior de football a son nouveau sélectionneur
http://www.lepelican[...]
2019-12-15
[6]
Instagram
Squad list
2024-10-08
[7]
웹사이트
Saint Martin
https://www.national[...]
[8]
웹사이트
'2008'
https://blogger.goog[...]
[9]
웹사이트
2010 Caribbean Cup Qualification
https://blogger.goog[...]
[10]
웹사이트
'2017'
https://blogger.goog[...]
[11]
웹사이트
'2017'
https://d2779tscntxx[...]
[12]
웹사이트
'2019'
https://blogger.goog[...]
[13]
웹사이트
'2019'
https://www.faxinfo.[...]
[14]
웹사이트
'2022'
https://stconcacafwp[...]
[15]
웹사이트
'2022'
https://wired868.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